Share
카테고리 Health

미리세틴 (Myricetin)

작성자 seasangira14 · 2025년 08월 09일

 

미리세틴(Myricetin)이란? 상세 가이드

1. 미리세틴이란 무엇인가?

미리세틴(Myricetin)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폴리페놀 화합물로, 강력한 항산화 특성을 지닌 식물성 색소입니다. 화학적으로 3,5,7,3′,4′,5′-헥사하이드록시플라본(3,3′,4′,5,5′,7-hexahydroxyflavone)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식은 C15H10O8입니다. 이 물질은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며, 특히 과일, 채소, 견과류, 차, 적포도주 등에 풍부합니다. 미리세틴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신경보호 등의 생물학적 활성을 통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미리세틴은 다른 플라보노이드인 퀘르세틴, 피세틴, 루테올린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이들과 유사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1938년 생화학자 알베르트 센트-죄르지(Albert Szent-Györgyi)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초기에는 비타민 P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필수 영양소가 아닌 유익한 식물영양소(phytonutrient)로 재분류되었습니다.

2. 미리세틴의 주요 식품 공급원

미리세틴은 다양한 일상 식품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미리세틴 함량이 높은 주요 식품과 그 함량(100g당)을 정리한 목록입니다:

  • 크랜베리: 약 6,600mg
  • 고구마 잎: 약 4,400mg
  • 루타바가: 약 2,100mg
  • 마늘: 약 1,600mg
  • 블루베리: 약 1,300mg
  • 고추: 약 1,200mg
  • 녹차: 약 790mg
  • 블랙베리: 약 700mg
  • 레몬: 약 500mg
  • 케일: 약 60mg
  • 적포도주: 약 14.6mg

이 외에도 붉은 양파, 파슬리, 고지베리, 월넛, 검은 과일(14~142mg/kg), 꿀(29.2~289μg/100g) 등에서도 미리세틴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식품의 미리세틴 함량은 식물의 유전적 요인, 환경 조건, 성숙도, 가공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미리세틴의 생물학적 활성 및 건강상의 이점

미리세틴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통해 건강에 기여합니다.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항산화 효과

미리세틴은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를 중화하여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강력한 항산화제입니다. 활성산소는 세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며, 지질, DNA, 단백질을 손상시켜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염증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리세틴은 ROS를 제거하고, 전이 금속 이온(철, 구리 등)을 킬레이트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또한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GST)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세포를 자유 라디칼로부터 보호합니다.

3.2 항염증 효과

미리세틴은 염증 반응을 조절하여 만성 염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염증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며, 사이토카인(TNF-α, IL-6 등) 및 NF-κB 단백질 복합체의 활성을 억제합니다. 이는 관절염, 비만, 대사성 질환 등 염증 관련 질환의 관리에 유익합니다.

3.3 항암 효과

미리세틴은 발암 물질(예: 벤조(a)피렌)에 의한 DNA 손상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쥐 모델에서 피부 종양 형성을 억제했으며, 위암 세포에서 페로토시스(ferroptosis)를 유도하여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모든 발암 물질에 대해 동일한 효과를 보이지는 않으며, 특정 조건에서는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도 보고되었습니다.

3.4 심혈관 건강

미리세틴은 LDL 콜레스테롤의 산화를 방지하고,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심혈관 건강을 지원합니다. 또한 혈압 조절, 동맥경화 예방, 지질 프로필 개선에 기여합니다. 쥐 모델에서 미리세틴은 트리글리세리드,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켰습니다.

3.5 신경보호 효과

미리세틴은 뇌세포를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으로부터 보호하여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뇌졸중 등의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에 잠재적 이점이 있습니다. 뉴런 손상을 줄이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며, 신경 염증을 억제합니다.

3.6 항바이러스 및 항균 효과

미리세틴은 HIV, 래우셔 마우스 백혈병 바이러스 등에 대해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이며,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억제합니다. 또한 박테리아의 병원성 인자를 방해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냅니다.

4. 미리세틴 섭취 및 보충제

미리세틴은 주로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평균 일일 섭취량은 식이 패턴에 따라 다르며, 유럽에서는 1~4mg, 네덜란드에서는 약 23mg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보충제 형태로는 100~600mg/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캡슐 형태로 제공됩니다. 그러나 고용량 보충제는 소화 불편(메스꺼움, 설사), 알레르기 반응(발진,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리세틴은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이 낮아(약 9.62~9.74%) 흡수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지방이 포함된 식사와 함께 섭취하면 흡수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에서 대사되는 약물(항응고제, 항염증제 등)과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충제를 사용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5. 주의사항 및 부작용

식품을 통한 미리세틴 섭취는 일반적으로 안전합니다. 그러나 고용량 보충제는 다음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소화기 문제: 메스꺼움, 복부 팽만감, 설사
  • 알레르기 반응: 식물 플라보노이드에 민감한 경우 발진, 가려움증
  • 약물 상호작용: 간 대사 약물, 항응고제와의 상호작용
  • 철 흡수 저해: 철분 결핍이 있는 경우 주의 필요

특히 임산부, 수유부,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은 보충제 사용 전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6. 결론

미리세틴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심혈관 보호, 신경보호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는 강력한 플라보노이드입니다. 크랜베리, 블루베리, 녹차, 적포도주 등 일상 식품을 통해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균형 잡힌 식이 요법을 통해 얻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보충제를 고려한다면, 적절한 용량과 잠재적 부작용을 고려하여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리세틴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건강한 식습관과 함께 적절히 섭취하세요.

 

You may also like

error: Content is protected !!